게임 개발자(진)
Brain Backup
게임 개발자(진)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1)
    • 언리얼엔진 (10)
    • 유니티 (19)
    • 운영체제 (0)
    • 알고리즘 (36)
      • 백준 문제풀이 (26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(10)
    • 자료구조 (1)
    • Git (2)
    • C++ (15)
      • STL (10)
      • 기타 (5)
    • Python (9)
    • BackEnd (5)
      • IOCP게임서버 (5)
      • HTTP (0)
    • FrontEnd (12)
      • HTML (11)
      • CSS (1)
    • 프로젝트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게임 개발자(진)

Brain Backup

유니티

[Unity] PlayerPrefs을 활용한 데이터 저장

2023. 3. 4. 14:44

PlayerPrefs란?

유니티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제공해주는 클래스입니다.

int, float, string, bool 타입의 변수를 저장/불러오기 기능을 제공해줍니다.


멤버 함수

* DeleteAll => 모든 키 값을 삭제
* DeleteKey => 특정 키 값을 삭제
* GetFloat => 지정한 float 타입의 키 값을 로드
* GetInt => 지정한 int 타입의 키 값을 로드
* GetString => 지정한 String 타입의 키 값을 로드
* HasKey => 해당 키가 존재하는 여부를 반환
* Save => 변경된 모든 키 값을 물리적인 저장 공간에 저장
* SetFloat => 지정한 키로 float 타입의 값을 저장
* SetInt => 지정한 키로 int 타입의 값을 저장
* SetString => 지정한 키로 string 타입의 값을 저장
PlayerPrefs.SetString("Name", 스트링값);
//위와같은 방식으로 사용합니다.
//첫번째 인자는 Key로 사용되고, 두번째 인자는 Value로 들어가게 됩니다.

값 저장 위치

유니티에서 설정한 ComPany Name과 Product Name을 기준으로 저장위치가 정해집니다.

 

1.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후

2. HKEY_CURRENT_USER => SOFTWARE => Unity => UnityEditor => [Company Name] => [Product Name]

'유니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Unity] UnityWebRequest.Post을 사용한 json전송의 문제  (0) 2023.03.04
[Unity] UI에서 블로커 구현하기  (0) 2023.02.19
[Unity] 현재 애니메이터의 상태(state), 파라미터 값 아는 방법  (0) 2023.02.18
[Unity] 헤더추가로 인스펙터 깔끔하게 정리하기!  (0) 2023.02.18
[Unity] 애니메이션 이벤트  (0) 2023.02.18
    '유니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Unity] UnityWebRequest.Post을 사용한 json전송의 문제
    • [Unity] UI에서 블로커 구현하기
    • [Unity] 현재 애니메이터의 상태(state), 파라미터 값 아는 방법
    • [Unity] 헤더추가로 인스펙터 깔끔하게 정리하기!
    게임 개발자(진)
    게임 개발자(진)
   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블로그(게임프로그래밍이 주 분야)

    티스토리툴바